[Silver I] 피보나치 - 9009 https://www.acmicpc.net/problem/9009 문제설명 피보나치 수 ƒK는 ƒK = ƒK-1 + ƒK-2로 정의되며 초기값은 ƒ0 = 0과 ƒ1 = 1 이다. 양의 정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로 다른 피보나치 수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나의 양의 정수에 대한 피보나치 수들의 합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정수 100은 ƒ4 + ƒ6 + ƒ11 = 3 + 8 + 89 또는 ƒ1 + ƒ3 + ƒ6 + ƒ11 = 1 + 2 + 8 + 89, 또는 ƒ4 + ƒ6 + ƒ9 + ƒ10 = 3 + 8 + 34 + 55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문제는 하나의 양의 정수를 최소 개수의 서로 다른 피보나치 수들의..
[Silver I] 로마 숫자 - 2608 https://www.acmicpc.net/problem/2608 문제설명 로마 시대 때는 현재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수를 표현하였다. 로마 숫자는 다음과 같은 7개의 기호로 이루어진다. 기호 I V X L C D M 값 1 5 10 50 100 500 1000 수를 만드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보통 큰 숫자를 왼쪽에 작은 숫자를 오른쪽에 쓴다. 그리고 그 값은 모든 숫자의 값을 더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LX = 50 + 10 = 60 이 되고, MLI = 1000 + 50 + 1 = 1051 이 된다. V, L, D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고 I, X, C, M은 연속해서 세 번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V나 LXIIII ..
[Silver V] 소수 - 2581 https://www.acmicpc.net/problem/2581 문제설명 자연수 M과 N이 주어질 때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골라 이들 소수의 합과 최솟값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M=60, N=100인 경우 60이상 100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61, 67, 71, 73, 79, 83, 89, 97 총 8개가 있으므로, 이들 소수의 합은 620이고, 최솟값은 61이 된다.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 M이, 둘째 줄에 N이 주어진다. M과 N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M은 N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 단, M이상 N이..
[Silver III] 통계학 - 2108 https://www.acmicpc.net/problem/2108 문제설명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단, N은 홀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
[Silver V] 소수 찾기 - 1978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문제설명 주어진 수 N개 중에서 소수가 몇 개인지 찾아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주어진 수들 중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입력 / 예제출력 문제이해 및 코드설명 주어진 입력중 소수가 몇개인지 판단하는 문제이다. 소수는 1을 제외하고 약수가 자기 자신밖에 없는 수를 의미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1이면 무시하고, 2부터 시작해서 나눠보았을때 자기자신으로 나누어떨어지는 수를 찾는 방식으로 코드를 짜보았다. 코드 n = int(input()) num_lis..
[Silver V] 수들의 합 - 1789 https://www.acmicpc.net/problem/1789 문제설명 서로 다른 N개의 자연수의 합이 S라고 한다. S를 알 때, 자연수 N의 최댓값은 얼마일까?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S(1 ≤ S ≤ 4,294,967,295)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자연수 N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입력 / 예제출력 문제이해 및 코드설명 입력에 필요한 수를 만들기 위해선 최대한의 서로다른 수의 합으로 만든다면 몇개의 수가 필요할것이냐는 문제이다. 200 은 200 으로도 만들수 있지만, 1 +199 , 1 +2 + 197 등으로도 만들수가있다. 이 경우 가장 많은 수를 확보하는 방법은 가장작은 수부터 하나씩 계속더하면서 값을 구하는 방법일것이다. while 조건..
[Silver V] 3의 배수 - 1769 https://www.acmicpc.net/problem/1769 문제설명 문제가 잘 풀리지 않을 때,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조금만 다르게 가지면 문제가 쉽게 풀리는 경험을 종종 해 보았을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하나로 우리가 풀고 싶은 문제를 좀 더 쉬운 문제로 바꾸어 풀어 보는 방법이 있다. 소위 "다른 문제로 바꾸어 풀기"라는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풀고자 하는 문제를 다른 문제로 변환한다. 변환된 문제의 답을 구한다. 구한 답을 원래 문제의 답으로 삼는다.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의 초등학교 수학 수준의 예를 들어 보자. 문제 1. "양의 정수 X는 3의 배수인가?" 이 문제를 아래와 같이 변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