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 파일을 실행하면 메모리에 올라가서 동작중인 상태 exec : 내가 직접 동작 기존 프로세스가 그대로 동작 fork : 프로세스를 복사하여 동작 부모프로세스는 프로세스의 동작과 상태를 저장 자식프로세스는 업무를 처리하여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 포어그라운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작업 공간 포어 그라운드에서 명령어 실행 #sleep 10000 백그라운드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작업 공간 백그라운드에서 명령어 실행 명령어 뒤에 & 기호 사용 [1] 뒤에 숫자는 다르게 출력 #sleep 10000 & jobs 작업 목록 확인 명령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추가 실행 #sleep 10000 & #sleep 10000 & #sleep 10000 & #jobs 결과..
putty - 리눅스를 가독성 있게 사용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pwd- 현 작업 공간을 확인하는 명령어 #ip addr show - ip주소를 확인 절대경로 - 있는 그대로 표현 / - 최상위 /var/tmp - 최상위 아래 var 아래 tmp 디렉토리의 경로 상대경로 - 현재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경로 . - 현재 디렉토리 .. - 상위 디렉토리 #cd : 이동하는 명령어(이동 시 공통된 지점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와야 함.) ex> 절대경로로 /root 디렉토리에서 /var/tmp로 이동 #cd /var/tmp ex> 상대경로로 /var/tmp 디렉토리에서 /bin 디렉토리로 이동#cd ../../bin #cd ..
Centos - 리눅스와 호환(레드햇에서 제공하는 리눅스) 가상머신 (Visual Box)사용 - 게스트 운영체제로 Linux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하드웨어의 일부 공간을 사용해 임시 운영체제를 프로그램처럼 사용 네트워크 설정 DHCP (자동으로 서버에서 대역을 받아옴) Nat -network 설정 Host-only 설정 Centos7#1 (Red Hat 64Bit) 가상머신 만듬(동적할당 -8GB) Centos7#1에 네트워크를 Nat-network , Host -only 2개 연결 Centos 저장소에서 7버전 추가 Centos 설치 (가상머신 시작후 root암호 설정해서 만들기) Centos 로그인 localhost login: r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