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I] 영역 구하기 - 2583
https://www.acmicpc.net/problem/2583
문제설명
눈금의 간격이 1인 M×N(M,N≤100)크기의 모눈종이가 있다. 이 모눈종이 위에 눈금에 맞추어 K개의 직사각형을 그릴 때, 이들 K개의 직사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M=5, N=7 인 모눈종이 위에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3개를 그렸다면, 그 나머지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림 2>와 같이 분리된 세 영역의 넓이는 각각 1, 7, 13이 된다.
M, N과 K 그리고 K개의 직사각형의 좌표가 주어질 때, K개의 직사각형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 그리고 분리된 각 영역의 넓이가 얼마인지를 구하여 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M과 N,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M, N,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0,0)이고,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N,M)이다.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예제입력 / 예제출력

문제이해 및 코드설명
bfs를 활용하여 문제를 푼 그래프 탐색문제이다. 상하좌우를 판단하여 색칠 유무를 판단하는 점에서 힌트를 얻었다.
여느 bfs 문제와 같이 deque를 쓰며 popleft를 실행 해주는 조건을 만들어준다. 가로 M 세로 N개 칸이기 때문에 2차원 구조의 리스트를 M,N으로 우선 작성해주었다. 그 후문제에서 주어진 왼쪽아래와 오른쪽 위의 영역 사이의범위 모드 색이 칠해져있으므로 1롤 채워주며 구분을 해주었다. 이 후 0인 점이 오면 큐에넣고 상하좌우를 확인하며 큐에 넣어준다. 큐가 끝날때까지 반복하는 일반적인 bfs 함수를 실행해주면서 count를 세주면 연결된 빈 공간의 개수를 세주면서 넓이를 구할수가 있다. area는 이런 영역이 몇개인지를 확인하는 변수이고, 한번 종료될때까지 cnts 에 cnt의 개수가 입력이 되는 코드이다.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M,N,K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 = [[0] * N for i in range(M)]
dx = [-1,1,0,0]
dy = [0,0,-1,1]
for _ in range(K):
x1,y1,x2,y2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for i in range(y1,y2):
for j in range(x1,x2):
graph[i][j] = 1
def bfs(i,j):
queue = deque()
queue.append((i,j))
graph[i][j]=1
cnt = 1
while queue:
x,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x = x +dx[i]
ny = y +dy[i]
if (0 <= nx < M) and (0 <= ny < N):
if graph[nx][ny] == 0:
graph[nx][ny] = 1
queue.append((nx, ny))
cnt += 1
return cnt
area = 0
cnts = []
for i in range(M):
for j in range(N):
if graph[i][j]==0:
cnts.append(bfs(i,j))
area+=1
print(area)
cnts.sort()
print(*cnts)
'알고리즘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 LCA 11437 (Python) (0) | 2023.04.07 |
|---|---|
| 백준 - 플로이드 11404 (Python) (0) | 2023.04.07 |
| 백준 - 유기농 배추 1012 (Python) (0) | 2023.03.24 |
| 백준 - 미로 탐색 2178 (Python) (0) | 2023.03.24 |
| 백준 - 그림 1926 (Python) (0) | 2023.03.24 |
[Silver I] 영역 구하기 - 2583
https://www.acmicpc.net/problem/2583
문제설명
눈금의 간격이 1인 M×N(M,N≤100)크기의 모눈종이가 있다. 이 모눈종이 위에 눈금에 맞추어 K개의 직사각형을 그릴 때, 이들 K개의 직사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M=5, N=7 인 모눈종이 위에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3개를 그렸다면, 그 나머지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림 2>와 같이 분리된 세 영역의 넓이는 각각 1, 7, 13이 된다.
M, N과 K 그리고 K개의 직사각형의 좌표가 주어질 때, K개의 직사각형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 그리고 분리된 각 영역의 넓이가 얼마인지를 구하여 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M과 N,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M, N,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0,0)이고,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N,M)이다.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예제입력 / 예제출력

문제이해 및 코드설명
bfs를 활용하여 문제를 푼 그래프 탐색문제이다. 상하좌우를 판단하여 색칠 유무를 판단하는 점에서 힌트를 얻었다.
여느 bfs 문제와 같이 deque를 쓰며 popleft를 실행 해주는 조건을 만들어준다. 가로 M 세로 N개 칸이기 때문에 2차원 구조의 리스트를 M,N으로 우선 작성해주었다. 그 후문제에서 주어진 왼쪽아래와 오른쪽 위의 영역 사이의범위 모드 색이 칠해져있으므로 1롤 채워주며 구분을 해주었다. 이 후 0인 점이 오면 큐에넣고 상하좌우를 확인하며 큐에 넣어준다. 큐가 끝날때까지 반복하는 일반적인 bfs 함수를 실행해주면서 count를 세주면 연결된 빈 공간의 개수를 세주면서 넓이를 구할수가 있다. area는 이런 영역이 몇개인지를 확인하는 변수이고, 한번 종료될때까지 cnts 에 cnt의 개수가 입력이 되는 코드이다.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M,N,K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 = [[0] * N for i in range(M)]
dx = [-1,1,0,0]
dy = [0,0,-1,1]
for _ in range(K):
x1,y1,x2,y2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for i in range(y1,y2):
for j in range(x1,x2):
graph[i][j] = 1
def bfs(i,j):
queue = deque()
queue.append((i,j))
graph[i][j]=1
cnt = 1
while queue:
x,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x = x +dx[i]
ny = y +dy[i]
if (0 <= nx < M) and (0 <= ny < N):
if graph[nx][ny] == 0:
graph[nx][ny] = 1
queue.append((nx, ny))
cnt += 1
return cnt
area = 0
cnts = []
for i in range(M):
for j in range(N):
if graph[i][j]==0:
cnts.append(bfs(i,j))
area+=1
print(area)
cnts.sort()
print(*cnts)
'알고리즘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 LCA 11437 (Python) (0) | 2023.04.07 |
|---|---|
| 백준 - 플로이드 11404 (Python) (0) | 2023.04.07 |
| 백준 - 유기농 배추 1012 (Python) (0) | 2023.03.24 |
| 백준 - 미로 탐색 2178 (Python) (0) | 2023.03.24 |
| 백준 - 그림 1926 (Python)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