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 리눅스와 호환(레드햇에서 제공하는 리눅스)
가상머신 (Visual Box)사용 - 게스트 운영체제로 Linux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하드웨어의 일부 공간을 사용해 임시 운영체제를 프로그램처럼 사용
- 네트워크 설정
DHCP (자동으로 서버에서 대역을 받아옴)
- Nat -network 설정
- Host-only 설정
- Centos7#1 (Red Hat 64Bit) 가상머신 만듬(동적할당 -8GB)
- Centos7#1에 네트워크를 Nat-network , Host -only 2개 연결
- Centos 저장소에서 7버전 추가
- Centos 설치 (가상머신 시작후 root암호 설정해서 만들기)
- Centos 로그인
localhost login: root <-- 입력 Password: <-- 입력 [root@localhost ~] # <-- 로그인 완료
# nmcli con show -네트워크 설정확인 (나올떈 Q로 나오기)
2개 연결해주었기 때문에
enps03 (Nat-network) , enps08 (Host-only) 가 있는지 확인하기
- 네트워크 설정
Nat-network 설정
nmcli con add con-name ens1 type ethernet ifname enp0s3 ipv4.method manual ipv4.addresses 10.0.2.10/24
ipv4.gateway 10.0.2.1 ipv4.dns 8.8.8.8
Host-only 설정
nmcli con add con-name ens2 type ethernet ifname enp0s8 ipv4.method manual ipv4.addresses 192.168.56.10/24 ipv4.gateway 192.168.56.1 ipv4.dns 8.8.8.8
- con-name : 네트워크 이름
- type : 연결 방식
- ifname : 랜카드 이름
- ipv4.method : ip 설정 방식(자동 / 수동)
- ipv4.addresses : ip 주소
- ipv4.gateway : 패킷 관문
- ipv4.dns : 도메인 서버 주소
간단한 상식(서브넷 마스크, 프리픽스)
ex> 198.168.56.10
ex> 198.168.56.11
2진수로 변환하면 앞에 부분 똑같음
255.255.255.0 - 서브넷마스크
같은것을 1로 표현 / 다른것을 0으로 표현 (prefix) - 198.168.56.11 /24 아래껄 표기할때 이런식으로 표기
*서브넷 마스크 , 프리픽스로 같은대역인것을 확인할수 있음.
네트워크 설정 후 활성화
# nmcli con up ens1
# nmcli con up ens2
네트워크 통신 확인
# ping 8.8.8.8
- 중지 시 ctrl + c 입력
- 네트워크 설정을 잘못 했을 경우(2가지)
1. 지우고 다시 생성
# nmcli con del ens1 <-- 네트워크 제거
# nmcli con add ... <-- 위에 설정 참고
# nmcli con up ens1 <-- 활성화
2. 설정을 바꿔주기
# nmcli con mod ens1 ipv4.addresses 192.168.56.11/24
# nmcli con reload
# nmcli con down ens1
# nmcli con up ens1
- 명령어 기본
ls : 파일의 목록을 확인
ls -l /etc : /etc 디렉토리의 파일의 목록을 자세하게 확인
- 명령어 도움말 기능(2가지)
- [명령어] --help <-- 간단한 도움말 ex) ls --help
- man [명령어]
q 입력 후 매뉴얼 페이지 빠져나오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프로세스 및 권한 (0) | 2022.07.12 |
---|---|
Linux - Putty, 기초지식 (0) | 2022.07.12 |